본문 바로가기

Life Style

온라인 청년센터

 학교도 갈 수 없게 되었고, 혼자 살고 싶은 생각이 들어 대학생 때 했었던 LH 전세임대주택 다시 알아보려고 하다가 온라인 청년센터라는 곳을 발견했다. 고용노동부가 관리하는 이 사이트는 구직자부터 직장인인 청년에 대해 각종 정책을 소개하고 있다. 정부 그리고 지자체별로 다양한 정책 (전기차 구매 지원 등)을 펼치고 있어서 내게 맞는 조건의 정책을 찾아보면서 흥미로웠다. 하지만  곧, 나에게 맞는 정책은 그렇게 많지 않음을 알게 되었다. 

 

www.youthcenter.go.kr/youngPlcyUnif/youngPlcyUnifList.do

 

청년정책 통합검색

 

www.youthcenter.go.kr

1.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은 6개월 동안 50만 원씩 구직활동을 지원해주는 사업이라 가장 끌리는 아이템인데, 대학교 혹은 고등학교 졸업 후 2년 이내에 신청을 해야 신청이 가능하다. 나는 2년이 지났기 때문에 신청이 불가능한데, 너무 아쉬웠다. 

 

2. 주택에 관한 것은 역세권주택공급,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쉐어하우스 등 정말 많은 정책들이 있었는데, 서울을 벗어난 곳은 관리비 제외 25만 원 정도 월세가 부담이 되고 8만 원 정도가 관리비 지출이 된다. 

 

서울 주택도시공사에 오늘 동작구 역세권청년주택 공고가 나왔는데, 조건은 까다롭지 않으나 비용이 다소 부담이 되는 부분이었다. 신혼부부를 위한 방을 제외한 모든 방들은 원룸으로 제공되고 세탁기나 냉장고 등은 제공되는 것 같은데, 월세가 40만 원을 넘기는 가격이라 여유 있는 공시생들이나 혹은 근처 직장인들이 선호할 것 같았다. 위치상으로는 동작구 경찰서를 돌아서 바로 뒤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위치적으로는 정말 최고라고 생각한다. 서울이라 월세가 비싼 것이 다소 아쉬웠다. 하지만 오피스텔이고 풀옵션으로 가구가 제공되기 때문에 나쁘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www.i-sh.co.kr/main/lay2/program/S1T294C295/www/brd/m_241/view.do 

 

sh서울주택도시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 도시공간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스마트 시민기업

www.i-sh.co.kr

 

3. 목돈마련통장들, 내일 채움 공제 혹은 드림 FOr청년 통장.

월에 10만 원 15만 원씩 적금식으로 넣으면서 두배 혹은 3배가량의 돈을 2년에서 3년 후에 받게 되는 정책이라 너무 신청하고 싶지만, 아직 직장인이 아니라 신청을 못해 너무 아쉽다.

 

인천에 살고 있어서 인천에서 받을 수 있는 정책을 검색해봤지만 절망적이었다. 다른 지자체에 비교해서 정책들의 조건이 참여하기 많이 까다로워 다양한 청년들이 정책에 참여할 수 없을 것 같았다. 그리고 지방에도 있는 주거지원사업이 단 한 개도 없는 것이 너무 아쉬웠다.  

 

4. 인천 드림청년 체크카드는 조건도 괜찮고 혜택도 괜찮은 것 같아 지원해보려고 하니깐 이미 4월부터 5월까지 접수를 받고 끝 마친 상태였다. 결과적으로 인천에서 참여할 수 있거나 참여하고 싶은 정책은 단 한 개도 없었다. 

 

5. K-move 스쿨이라고 고용노동부 주관 해외취업진출을 도와주는 사업이 있는데, 해당 사이트에서 볼 땐 굉장히 매력적이고 현지 취업을 위한 훈련에 대해서도 많은 지원이 있기 때문에 잠시 혹 했지만, 조금 더 알아보니 이 사업에 참여했던 청년들 중 절반은 이 사업을 주변인에게 추천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다양한 이유가 있었지만, 그중에 기억 남는 이유는 약속된 임금을 제 날짜에 받지 못하고 미뤄진다던지, 현지에서 어려움이 있을 때 도움을 청하면 연락이 잘 안 된다던지 하는 고충이 있는 것 같았다. 해외에서 살아본 바로, 어려움이 생겼을 때 도움을 청할 곳이 없다는 것은 정말 절망적이다. 

 

물론, 온라인청년센터에서 지원해주는 사업이 본인의 조건에만 맞으면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어서 청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지만, 조건의 문이 다소 좁지 않나 생각한다. 기초생활수급자부터 차상위계층, 혹은 재직자들이 누릴 수 있는 정책들이 확실히 나뉘고 어중간한 청년들이 얻을만한 정책은 거의 제로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본인의 상태만 확실히 한다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정책은 반드시 존재한다. 

미취업자, 무주택 세대주, 3인 기준 6백60만 원 이하 등등

 

 

'Life Sty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UFO버거 먹어본 후기  (0) 2023.04.17
호주에서 중고차 사는 법  (0) 2023.04.16
경험자가 말하는 호주 워킹홀리데이, 대학 지역 추천  (0) 2023.04.14
BERNINI WINE SPRITZER와 이마트 유산슬  (0) 2023.04.13
E-book  (0) 2020.08.17